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사드보복
- 의료취약지역
- 수동 도어 열기
- 솔루션
- 심신장애
- 탄핵
- 뿌린대로거둔다
- 형법10조
- 문재인정부
- 어려운 산업
- 정유년
- 대통령
- 최순실
- 책임총리
- 정책
- 대선주자
- 시계맞추기
- 새누리당
- 대선
- 올뉴말리부
- 한한령
- 박근혜
- 개헌
- 사드
- 주인 대리인 문제
- 대선불출마
- 행정대학원
- 수리방법
-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 현금복지
- Today
- Total
Think Tank
이산가족 상봉을 시작하자 본문
대한민국이 남과 북으로 분단된 지도 어느새 70년이 지났다. 남북이 하나였던 시절은 이제 먼 옛날 얘기가 되었다. 어쩌면 '통일'이라는 단어조차도 우리에게 이질감을 주고 있는지 모른다.
현재의 남북관계는 아주 차갑게 얼어붙었다. 북한은 연이은 핵 개발과 미사일 도발로 우리를 위협하고 있고, 우리 역시 북한과의 모든 교류를 중단하며 강대강 대치국면을 이어가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 정부는 우리 정부대로, 북한은 북한대로 현 상황을 타개할 의지조차 없어보인다.
이러한 현실에 가장 가슴 아픈 분들은 바로 이산가족들이다. 이들은 가족과 떨어져 만남은 커녕 생사조차도 확인하기 힘든 남북분단의 현실에서 고통 받고 있다.
6.15 남북공동선언 이후 당국 차원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하고 있지만, 전체 이산가족 수에 비해 상봉 규모가 상당히 적고 상봉 기회마저 얼마 없어 실제로 자신의 가족과 상봉하는 게 쉽지만은 않다. 그럼에도 가족을 볼 수 있다는 희망 하나만으로도 이산가족에겐 큰 힘이 되었다.
그런데 이제는 그런 희망마저도 품을 수 없다. 이산가족 상봉은 현 남북관계를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정부에서 밝혔기 때문이다. 그래서 보통 설이나 추석 연휴를 맞아 열리던 이산가족 상봉은 올해 조용히 지나갔다.
물론 남북관계의 현실을 이해 못하는 건 아니다. 그러나 이산가족의 현실도 고려해야 한다.이산가족에겐 '시간'이 없다. 70년이란 분단의 세월을 따라 그들도 늙어갔기 때문이다.
올해 이산가족 신청자 중 절반 이상이 사망자라고 한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전체 신청자 중 사망자가 절반에 미치지 못했던 점과 비교하면 그만큼 이산가족 사망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현재 살아계신 이산가족 절반 이상이 80세 이상의 초고령자이므로 앞으로 사망자 수는 더욱 늘 수밖에 없다. 시간이 없다.
남과 북 모두 이산가족 문제에 있어서만큼은 한 발씩 양보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우리 정부는 대북제재와 별개로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북한은 이를 악용해 대가를 요구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정치적 이해관계는 접어두자.
다가오는 설에는 이산가족 상봉이 개최된다는 소식이 들렸으면 한다. 이산가족에게 가족을 볼 수 있다는 희망을 주자.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찰개혁, 검·경 수사권 조정? 한국형 FBI 창설? (0) | 2016.12.28 |
---|---|
편의점 약품판매, 편의점이 없는 곳은? (0) | 2016.11.25 |
무고죄 처벌을 강화하자 (0) | 2016.11.22 |
형법 10조 심신장애, 개정이 필요하다 (0) | 2016.11.21 |
해외입양, 언제까지 보내야 할까요 (0) | 2016.11.16 |